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01

조선시대풍수학1 조선시대 풍수지리학이 실생활에 미친 내용입니다. 정의음양론과 오행설을 기반으로 땅에 관한 이치, 즉 지리를 체계화한 조선시대풍수학1 전통적 논리구조이며, 주역을 주요한 준거로 삼아 추길피흉을 목적으로 삼는 상지기술학입니다. 개설구성은 산수방위사람 등 네가지의 조합으로 성립되며, 구체적으로는 간룡법장품법득수법정혈법좌향론형국론소주길흉론등의 형식논리를 갖고있습니다. 풍수라는 용어는 중국동진의곽박이 쓴 장서에서 죽은사람은 생기에 의지하여야하는데라며 그 기는 바람을타면 흩어져버리고 물에 닿으면 머문다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바람과 물을 이용하여 기를 얻는 법술을 풍수라 일컫게 되었는데 기록에서 시작되었다는것이 정설입니다. 그러나 이미 그 전부터 풍수라는 말이 쓰였다는것은 분명하며 풍수의 본래적의미는 지극히 일상적이.. 2017. 7. 18.
고성 왕곡마을 왕곡에 있는 양반마을에 관한 내용입니다. 중요민속문화재 제235호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오봉1리,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왕곡마을길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오송1리에 있는 조선후기의 한옥 건축을 보여주는 고성 왕곡마을 전통마을입니다. 중요민속문화재 235호로 마을은 중앙의 개울을 따라 이어져 있는 마을 안길을 중심으로 산을 등지고 있고, 그 내부에 가옥들이 자연스럽게 자리잡고 있는 형태입니다. 가옥과 가옥사이에는 비교적 넓은 텃밭이 고성 왕곡마을 있어서 이를 경계로 가옥들이 분산배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왕곡마을의 가옥구조는 안방, 도장방, 사랑방, 마루, 부엌이 한 건물 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부엌에 외양간이 붙어 있는 함경도강원도경상북도 북부지방에서 볼 수 있는 전형적인 양통집 구조입니다. 마을안길과.. 2017. 7. 17.
한국의 양반마을 제주 성읍마을 제주에 있는 양반마을에 관한 내용입니다. 소재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 국가민족문화재 제188호이며,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에있는 민속마을입니다.내용 국가민족문화재 제 188호 망르은 제주도 동남쪽 중산간 지대에 자리하며 해안에서 9키로거리 해발 125m의 비교적 높은곳에서 위치하며 이곳은 1423년세종5에 현청이 설치된 이후 한국의 양반마을 제주 성읍마을 조선말까지 약 5세기동안 정의현 소재지로서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몇 안되는 읍성가운데 하나입니다. 마을에서는 아직도 잘 보존되어 있는 성광과 동헌이었던 일관헌 및 명륜당 대성전을 포함한 향교가 있습니다. 기타건물로서 객사향청무학청진무청가솔청작청현사사창서별창군기고대동고평역고형옥남성루의두정한동루남대문동서대문등의 건축물이있었다.이.. 2017. 7. 17.
경주 양동 마을 조선시대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 정의로서 경상북도 경주시강동면양동리에 있는 민속마을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내용으로는 중요민속자료 제189호 이 경주양동마을조선시대경주시강동면양동리 마을은조선시대초기에 입향한 이래 지금까지 대대로 살아온 월성손씨와여강이씨가 양대문벌을 이루어 그들의 동족집단마을로 계승하여 왔습니다. 먼저 입향한 손씨는 이씨 의외 가로서 이따금 갈등과 분쟁을 야기 시키는 일도 있었다고 하며 손 이양씨는 지금까지도 상호통혼을 통하여 인척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또한 마을의대소사에 협동해 오고 있습니다.마을은 경주시내에서 동북방으로 16키로미터쯤 떨어져 있으며 넓은 평야에 임한 거꾸로 자형 산곡이 경주에서 흘러드는 형산강을 서남방 역수로 안은 지형이며 이역수지형이 마을의 끊임없는 부의 원천이라 믿어지고 있습니다. 마을의 서편에서는.. 2017. 7. 17.
조선시대 안동 하회 민속마을 안동에 있는 하회민속마을의 전반적인 내용입니다. 정의 경상북도안동시풍천면하회리에있는 민속마을 입니다. 내용은 중요민속문화재제122호로 조선전기이후의 전통적가옥군의 조선시대 안동 하회 민속마을 존재와 영남의 명기라는 풍수적 경관과 어울려 역사적 배경 별신굿과 같은 고려시대의 맥을 이은 민간전승등이 현대공업사외에서 매우 중요한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전통적경관과 함께 정신문화의 보존발전이라는 그터전은 낙동강의 넓은 강류가 마을전체를 동남서방향으로 감싸도는 명기이고 차원에서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되었습니다.하회마을은 풍산유씨 동족마을이며 조선시대 안동 하회 민속마을 그 지형은 태극형 또는 연화부수형연꽃이물에 떠있는 형상이라고 합니다. 유씨가 집단마을을 형성하기전에는 대체로 허씨안씨등이유력한 씨족으로 살아왓을것.. 2017. 7.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