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01 손병희 동학교주1 동학교주 손병희의 이야기입니다. 1861(철종12) ~ 1922 동학천도교지도사, 독립운동가, 교육사업가이며 본관은 밀양 초명은 응구 그 뒤 규동으로 고쳤으며 일본 망명때에는 이상헌이라는 가명을 썼습니다. 호는 소소거사 도호는 의암이며 동학교도들은 성사 손병희 동학교주1 천도교 제3세 교주 교종의암성사 또는 후천황씨라고도 불렀으며 충청북도 청원 출신으로 손두홍의 둘째아들로 어머니는 둘째부인 최씨이며 방정환은 사위입니다. 12세때 아버지의 심부름으로 어린시절부터 자기와 같은 약하고 불우한 사람을 도우려는 마음이 자라났는데 가난 속에서도 호방한 기질을 조금도 굽히지 않았고 의리도 남달리 뛰어났으며 눈길에 쓰러진 사람의 구휼비로 지급하는가하면 옥에 갇힌 친구 아버지의 석방을 위해 친구에게 자기 집의 돈 있는 .. 2017. 7. 22. 정도전 정도전 생애에 대한 내용입니다. 1342충혜왕 3 ~ 1398태조 7 고려 말 조선 초의 정치가이자 학자입니다. 본관은 봉화 자는 종지 호는 삼봉 봉화호장 정공미의 고손자로 아버지는 형부상서 정운경이며 선향은 경상북도 영주입니다. 출생지는 충청도 단양 삼봉이며 아버지와 이곡의 교유관계가 인연이되어 통례문지후를 역임 이곡의 아들 이색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정몽주 박상충 박의중 이숭인 이존오 김구용 김제안 윤소종 등과 교유하였습니다. 문장이 왕양혼후해 동료 사우의 추양을 받았으며 정도전 공민왕9년에 성균시에 합격하고 2년후 동 진사시에 합격해 충주사록 전교주부를 역임하였으며, 성균관박사로 있으면서 정몽주 등 교관과 매일같이 명륜당에서 성리학을 수업 강론하였으며 이듬해 태상박사에 임명되고 5년간 전선을 관장.. 2017. 7. 21. 이제마 조선의의학자 조선시대 의학자인 이제마에 관한 내용입니다. 헌종3 ~ 광무4년 조선말기의 의학자입니다. 이제마는 전주이씨로 태조 이성계의 고조인 목조의 2남 안원대군의 19대손이자 헌종3 3월 19일 간신일 오시에 함경남도 함흥군 주동사면 둔지리 사촌에 있는 반룡산 자락 아랫마을에서 진사 이반오와 경주김씨 사이에서 장남이자 서자로 태어났습니다. 호는 동무이고 자는 무평 또는 자명이며 초휘는 제마라 하였으나 전주이씨 안원대군파 선원 속보에는 그의 이름이 섭운 섭진으로 되어있습니다. 어려서부터 비범한 재질 생애 및 활동사항을 발휘하며 경사자집 뿐만 아니라 의약과 복서등에도 능통하였으며 평소부터 병법을 좋아하여 무인이 되기를 원하여 호를 동무라 지었고 이제마 조선의의학자 주역을 애독하여 이제마의 출생에는 재미있는 일화 태극.. 2017. 7. 20. 허준 조선의 의학자 조선시대의 의학자인 허준애 대한 내용입니다. 허준은 1539(중종34) ~ 1615(광해군7) 조선 중기의 의관입니다. 자는 청원, 호는 구암, 본관은 양천이며 30여년동안 허준 조선의 의학자 왕실병원인 내의원의 어의로 활약하는 한편 동의보감을 비롯한 8종의 의학서적을 집필하여 조선을 대표하는 의학자로 우뚝섰습니다. 허준은 뼈대 있는 무관의 가문 출신으로 아버지 허론과 양반가문 출신인 어머니 영광 김씨 사이에서 태어났는데 어머니의 신분이 정실이 아니었기 때문에 그의 신분은 중인으로 규정되었습니다. 이러한 신분때문에 문무관보다 천하다고 여겨진 의관의 길을 택하는데 작용하였고 그럼에도 훌륭한 가문의 배경덕에 허준은 어려서부터 경전역사의학에 관한 소양을 충실히 쌓을 수 있었습니다. 허준이 언제 어떻게 의학을 .. 2017. 7. 19. 성균관 조선의 교육 성균관이라곳은 어떤 곳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조선시대에 인재양성을 위하여 서울에 설치한 국립대학격의 유학교육기관입니다. 태학반궁현관근궁수선지지라고도 하였으며 성균관 조선의 교육 인재양성을 위한 최고학부의 기원은 중국 주대에 천자의 도읍에 설립한 벽옹과 제후의 도읍에 설립한 반궁의 제도에서 찾을 수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대의 국자감 신라시대의 국학 그리고 멀리는 고구려의 태학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최고학부의 명칭으로 성균이라는 말이 처음 사용된 것은 충렬왕이 죽고 충선왕이 충렬왕24에 국학(국자감을 개칭한 것)을 성균감이라 칭한데서 비롯되었는데 성균감을 성균관으로 개칭하였습니다. 1356년 공민왕5에는 배원정책에 따른 관제의 복구로 국자감으로 환원되었다가 다시 성균관으로 복구.. 2017. 7. 18. 구례화엄사 조선의사찰 구례에 있는 화엄사 내용입니다. 정의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 지리산 남쪽 기슭에 있는 통일 신라시대의 절입니다.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되어 화엄종을 선양하였던 구례화엄사 조선의사찰 사찰로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로 화엄사의 창건 및 중건에 대하여서는 여러가지 설이 있는데 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시대는 분명하지 않으나 연기라는 승려가 세웠다고만 기록되어 있습니다. 중관대사 해안이 인조14년에 쓴 호남도구례현지리산대화엄사사적등의 모든 사적기들은 진흥왕5 인도의 승려인 연기조사가 세웠다고 하기도 하고 구례속지에는 화엄사의 중건에대해서도 진흥왕4년에 연기조사가 세웟으며 백제 법왕이 3,000명의 승려를 주석하게 하였다고 부연 신라 선덕왕 때에 자장이 증축하고 문무왕때에 의상이 장륙전을 건립하였다는 등의.. 2017. 7. 18.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