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구례화엄사 조선의사찰

by 건강맨1213 2017. 7. 18.
반응형

구례에 있는 화엄사 내용입니다.


정의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 지리산 남쪽 기슭에 있는 통일 신라시대의 절입니다.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되어 화엄종을 선양하였던 구례화엄사 조선의사찰 사찰로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로 화엄사의 창건 및 중건에 대하여서는 여러가지 설이 있는데 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시대는 분명하지 않으나 연기라는 승려가 세웠다고만 기록되어 있습니다.


중관대사 해안이 인조14년에 쓴 호남도구례현지리산대화엄사사적등의 모든 사적기들은 진흥왕5 인도의 승려인 연기조사가 세웠다고 하기도 하고 구례속지에는 화엄사의 중건에대해서도 진흥왕4년에 연기조사가 세웟으며 백제 법왕이 3,000명의 승려를 주석하게 하였다고 부연 신라 선덕왕 때에 자장이 증축하고 문무왕때에 의상이 장륙전을 건립하였다는 등의 기록도 있습니다.


그러나 삼국시대에는 이와 같은 의문은 1978년에 신라 경덕왕대의 백제 당에 속하였던 화엄사를 자장이 중건할 수 있었을까 하는 점 원성왕13에 번역된 정원본사십화엄이 의상에 의하여 석각되어 장륙전의 사방벽에 장식될 수 없다고 하는 점, 그리고 양식으로 보아 현존 화엄사의 석조물이 모두 8세기후반부터 9세기에 걸쳐 조성되었다는점 창건과 중건에 대한 의문이 이와같은 의문은 978년에 신라 경덕왕대의 신라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이 발견됨으로써 완전히 풀렸으며 이 사경의 발문에 의하여 연기는 황룡사의 승려로서 경덕왕13 8월부터 화엄경사경을 만들기 시작하여 이듬해 2월에 완성시켰던 실존인물임이 발혀졌고 창건연대가 신라 진흥왕 때가 아닌 경덕왕때이고 아울러 자장 및 의상의 중수 또한 사실이 아님이 입증되었습니다.


다만 8세기보다 앞선 어느 시기부터 이 터에 가람이 있었고 그것이 연기조사대에 이르러 대가람으로 확장되었다고 볼수도있습니다. 이 절은 신라말도선에 의해 이 절에 매년 곡물을 헌납하는것을 허락 고려 광종때에 홍경선사가 퇴락한 건물을 중수하였으며 문종이 전라도와 경상도에서 이를 저장하기 위한 2채의 큰 창고를 일주문 밖에 짓기도 하였으며, 인종은 정인왕사로 하여금 이절을 중수하게 하고 도선국사의 비를 세우고 충숙왕때에는 조형왕사가 대대적인 보수를 하였습니다. 


조선시대의 화엄사는 세종6에 선종대본산으로 구례화엄사 조선의사찰 승격되었지만 이에 각성은 임진왜란의 방화로 완전히 불타버렸고 석경마저 산산조각이 나고 7년만인 대웅전을 비롯한 약간의 건물을 이룩하였으며, 선종대가람으로 승격하였습니다.


숙종27에는 각성의 듯을 이어받은 성능이 구례화엄사 조선의사찰 장륙전을 중건 각황전을 중수 숙종은 이를 각황전이라고 사액하고 선교양종대가람으로 격을 높이고 이후에도 부분적인 보수가 계속 이루어 졌지만 대웅전을 중수하고 각각 적조당과 보제루를 중수하였습니다. 1977년 각황전 해체보수를 완료하였으며 만월당 일주문을 세웠고 원융료 청풍당을 짓고 연기암을 복원했습니다.


주요고승 화엄종의 중심사찰이 되었던 이 절에는 창건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많은 고승들이 머물면서 창사의 이념인 화엄사상의 구현이 창건주인 연기조사를 비롯하여 정행 낭원 현준 결언 구례화엄사 조선의사찰 관혜 등의 화엄학승들이 머물렀습니다.


특히 신라말 화엄학이 해인사의 희랑과 대립하던 학파를 후백제 견훤의 복전이었던 관혜가 고려 왕건의 복전이었던 이 절이 중요시 되었습니다.


고려시대에는 의천이 이 절에 들러 연기조사의 영정에 예를 표하고 그를 찬탄하는 시를 남겼으며, 의천의 문도인 정인왕사는 이곳에서 도량을 배풀고 조선시대에서도 여기서 많은 고승이 구례화엄사 조선의사찰 배출되었으며 특히 선수가 화엄경을 강의하여 종풍을 크게 드날린 뒤 각성 처능 수초 명안 윤장등이 그를 뒤이어 화엄사상 펼쳤고 임진왜란 당시 주지로 절을 수호한 설홍 윤눌을 위시한 많은 고승들이 이 절을 위하여 크게 기여하였고 대강사 진진응이 머무르기도 하였습니다.


지리산화엄사라는 편액이 걸린 일주문을 지나면 문수 보현의 동자상을 안치한 금강문 그 바로 뒤인 제3문인 천왕문은 전면 3칸의 맞배집으로 막각 사천왕상을 안치하였고 청풍당 만월전 동서 쌍탑 이중 보물 299호인 구례 화엄사 대웅전은 정면 5칸 건물로서 조선 중기에 조성된 삼신의 삼존불이 봉안되어 있습니다. 화엄사 영산회 괘불탱은 선조가 벽암선사 예조대선사각성첩 1매 인조하사 어석1건, 고종, 인조14년간 화엄사서적 1책등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