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풍수지리학이 실생활에 미친 내용입니다.
정의음양론과 오행설을 기반으로 땅에 관한 이치, 즉 지리를 체계화한 조선시대풍수학1 전통적 논리구조이며, 주역을 주요한 준거로 삼아 추길피흉을 목적으로 삼는 상지기술학입니다.
개설구성은 산수방위사람 등 네가지의 조합으로 성립되며, 구체적으로는 간룡법장품법득수법정혈법좌향론형국론소주길흉론등의 형식논리를 갖고있습니다.
풍수라는 용어는 중국동진의곽박이 쓴 장서에서 죽은사람은 생기에 의지하여야하는데라며 그 기는 바람을타면 흩어져버리고 물에 닿으면 머문다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바람과 물을 이용하여 기를 얻는 법술을 풍수라 일컫게 되었는데 기록에서 시작되었다는것이 정설입니다.
그러나 이미 그 전부터 풍수라는 말이 쓰였다는것은 분명하며 풍수의 본래적의미는 지극히 일상적이고 평범함 생활환경을 대변해 주고 있는데 도읍이나 마을의 자리잡기, 집터잡기, 물자리 찾기, 정원수의 배치, 길내기 등은 말할것도 없고 풍은 기후와 풍토를 지칭하며, 수는 물과 관계된 모든 것을 가리키고 있으며, 따라서 풍수의 대상은 현대 지리학의 관심분야와 다를 것이 없습니다.
땅을 보는 기본적인 시각, 즉 풍수의 사상성은 인문주의적 입장과 같으며, 또한 철저한 윤리성과 인과응보적 토지관은 오늘날 사회지리학자들의 지역불평등에 대한 태도와 일치됩니다. 이런면에서 풍수는 인류의 출현과 함께 자연스럽게 형성, 발전되어온 당에 대한 태도의 체계화라고 할수 있습니다.
다만 살아있는 사람과 땅의 관계뿐만 아니라 죽은 사람의 경우까지 매우 중요시 한다는 점에서 풍수의 특징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풍수의 기본논리는 일정한 경로를 따라 땅속을 조선시대풍수학1 돌아다니는 생기를 사람이 접함으로써 복을 얻고 화를 피하자는 것인데 사람의 몸에 혈관이 있고 이 길을 따라 영양분과 산소가 운반되는 것처럼 땅에도 생기의 길이 있다는 것입니다.
보다 정확히 말하면 경락과 같은 것이 땅에도 있다는 것으로 경락은 혈관과는 달리 눈으로 확인할 수 없으나 몸의 기가 전신을 순행하는 통로러써, 지기가 돌아다니는 용맥도 마찬가지라는 것입니다.
땅 속 생기의 존재 자체는 아직 증명되어 있지 않으나 그 존재가 전제되어야 설명되는 현상들이 많이 있으며, 과학적 설명이 불가능하다고 해서 있는 사실을 없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산 살마은 땅의생기위에 얹혀 삶을 영위하면서 그 기운을 얻는 반면 죽은 사람은 땅속에서 직접 생기를 받아들이기 때문에 산 사람보다는 죽은살마이 얻는 생기가 더 크고 확실하며 죽은 자가 얻는 생기는 후손에게 그대로 이어진다고 여겼는데 이를 동기감응 또는 친자감응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풍수지리이론을 수록한 풍수서는 중국의 것이 대종을 이루며 장서를 비롯하여 지리사탄자,청오경,입지안전서,탁옥부,인자수지자효지리학,설심부,양택대전등이 널리알려진 풍수지리서입니다.
명산론, 산수도등은 우리나라의 명혈길지를 지도와 함께 수록한 풍수실용서이고 도선답산가금낭가옥룡자유세비록등은 가사체로 된 풍수지침서입니다.
이밖에도 헤아릴수없이 많은 풍수서가 나와있는데 내용은 크게 다르지 않고 대게 앞에 나온 책을 베끼고 거기에 주석을 다는 형식을 취한것입니다.
원리로는 첫번재 간룡법 풍수지리에 내포되어 잇는 모든 원리는 산에 가시적으로 나타나는데 용은 바로 산을 지칭하며 그리고 용맥의 좋고 나쁨을 조산으로부터 혈장에 이르기까지 살피는 방법이 간룡법입니다.
용속에는 감추어진 산의 정기 즉 지기가 유행하는 맥이 있어서 간룡할 때에는 용을 체로 맥을 용으로 하여 찾으며 맥이나 사람의 몸에서 혈의 이치가 나누어져 겉으로 흐르는 것과 같이 땅속의 용의 생기가 그 이치를 나누어 지표면 부근에서 흐르는 것 이며, 사람이 맥을 보아 건강상태를 진단하는 것처럼 맥도 용의 그 형체를 보아 길흉을 판단하는것입니다.
두번째 장풍법으로는 명당에자리잡은 혈장을찾아내는것을 목적으로 하는 풍수지리에서 명당 주위의 지형지세를 어떻게 파악하고 이해하는 문제는 풍수지리의 이해에 가장 중요한 대목입니다.
장품법이란 명당주위의 지세에 관한 풍수이론의 통칭이며, 장풍은 좌청룡우백호전주작후현무라 하여 혈이 남향인 경우 동쪽의 청룡, 서쪽의 백호, 남쪽의 주작, 북쪽의 현무의 네가지 조선시대풍수학1 산 정혈은 결국 장풍법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지만큼 실제로 도읍이나 음택 또는 주택을 상지함에 있어 장풍법은 요체가 되며 사신사가 대종을 이룹니다.
현무와 주작의 관계는 주인과 나그네 남편과 아내 임금과 신하사이로 인식되며 현무는 주산으로 국면의 기준이 되는데, 주산은 혈장뒤에서 두어 절 정도 떨어져 솟아 있는 높고 큰 산입니다.
주작은 안산과 조산으로 나뉘어지는데 조산은 혈 앞에 있는 크고 조선시대풍수학1 높은 산이며 안산은 주산과 조산사이에 있는 나지막한 산으로 주인과 나그네가 마주하고 있는 책상과 같다는 의미입니다. 청룡과 백호는 각각 동과 서에서 주산과 조산을 옹호, 호위하는 자세를 취하는 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