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1

합천해인사 조선의사찰2 해인사의 역사에 대한 내용 2번째 입니다. 기타전각 명부전은 지장전이라고도 하며 목조지장보살 및 시왕상이 봉안되어 있으며 크기는 19평으로 고종10에 담화대사가 옜 금탑전 자리에 신축하고 현재 율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극락전은 경상남도 웅천의 성흥사에서 옮겨온 시왕상을 봉안하였으며 지금 건물은 고종10에 지어졌습니다. 독립된 산내 암자로서 여러차례 중수를 거쳤으며 자운스님에 의해 화주가 되어 건물을 완전히 해체하여 지금의 서원자리에 중수하였고 그 뒤에 다시 봉주화상이 주지로 있을때 대장경판전을 합천해인사 조선의사찰2 신축하기 위해 건물을 지금의 자리인 100자 아래 지점에 새로이 옮겨 세워 지금에 이르고 있으며, 율원으로 쓰이는 한편 한주 스님들의 거처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관음전은 심검당이라고 불르기도.. 2017. 7. 18.
합천해인사 조선의 사찰1 해인사 역사에 대한 내용 1번째 입니다. 정의경상남도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합천해인사 조선의 사찰1 가야산에 있는절입니다. 사적 제504호 대한불교조계종 제12교구본사이며 의상의 화엄10찰 중 하나고 팔만대장경판을 봉안한 법보사찰이며 대한불교조계종의 종합 수도도량이며, 이 절은 신라 애장왕 때 순응과 이정이 창건하였습니다. 신림의 제자 순응은 명명하였던 혜공왕2 중국으로 구도의 길을 떠났다가 수년 뒤 귀국하여 가야산에서 정진하였으며 802년 애장왕3 해인사 창건에 착수하여 이소식을 전해 들은 성목태후가 불사를 도와 전지 2500결을 하사하였으며 순응이 갑자기 죽자 이정이 그의 뒤를 이어 절을 완성하였습니다. 해인은 화엄경 중에 나오는 해인삼매에서 유래한 것이며 따라서, 해인사는 화엄의 철학 화엄의 사상을 .. 2017. 7. 18.
낙산사 조선의 사찰 낙산사의 역사에 관한 내용입니다. 강원도양양군강현면전진리오봉산에 있는 절이며 오봉산은 낙산이라고도 합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3교구본사인 신흥사의 낙산사 조선의 사찰 말사이며해변에 위치한 특이한 구조를 갖춘 사찰로 우리나라 3대 관음기도도량 중의 하나입니다. 낙산은 범어 보타락가의 준말로서 동족 바닷가 굴속 준말로서 관세음보살이 항상 머무르는 곳이라는 의미 의상은 당나라에서 귀국하자 관세음보살의 진신이 있다는 말을 듣고 낙산사 조선의 사찰 친견하기 위해서 찾아갔습니다. 굴 입구에서 7일 동안 재계하고 좌구를 새벽물 위에 띄우자 용중과 천중 등 8부신장이 굴속으로 그를 인도하였으며, 공중을 향하여 예배드려 수정염주 한 꾸러미를 받아서 나오는데 동해의 용이 여의보주 한 알을 다시 바쳤습니다. 의상은 삼국유사에.. 2017. 7. 18.
금산사 조선의사찰 전라북도김제시금산면금산리모악산에있는 절에 관한 내용입니다. 대한불교조계종제17교구본사금산사 사적에 의하면 600년에 창건되었으며, 백제 법왕이 그의 즉위년에 칙령으로 살생을 금하고 그 이듬해에 금산사에서 38인의 승려를 득도시킨 것으로 되어있습니다. 그러나 이 때는 그 규모나 사격으로 볼 때 별로 큰 사찰이 아니었으며 1492년에 쓴 금산사오층석탑중창기에 의하면 과거불인 가섭불때의 옛터를 중흥한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는 금산사의 터전에 오랜불연이 있음을 강조한것입니다. 금산사가 대찰의 면모를 갖추게 된 시기는 금산사 조선의사찰 진표가 중창을 이룩한 경덕왕대 이후로 보고 있으며, 중창주 진표는 12세에 금산사의 순제에게 가서 중이 되었고, 그 뒤 금산사를 더나 선계산 부사의암에서 참회법을 닦아 미륵보살.. 2017. 7. 18.
혼천의에 대해 알아보자 정의 천체의 운행과 그 위치를 측정하던 천문관측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명 혼의혼의기선기옥형이라고도 혼천의에 대해 알아보자 하는데 고대 중국의 우주관인 혼천설에 기초를 두어서 서기전 2세기경에 처음 만들어졌습니다. 우리 나라에서는 확실한 자료가 없으나, 1433년 6월 최초로 제작되었으며 삼국시대 후기에도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에 만들어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측되며 예문관제학 정인지 기록에 나타난바로는 대제학 정초 등이 왕명을 받아 고전을 조사하고 중추원사 이천 호군 장영실 등이 처음 재료로 목재를 사용하였으나 뒤에 구리로 제작 바꾸었습니다. 1657년효종8년에는 최유지 이인철과 송이영이 각각 제작하엿으며 효종때의 혼천의는 시계장치를 연결하여 혼천시계로 만들어진것이며 혼천의라는 명칭은 중국 한나라때부터 사.. 2017. 7. 18.
조선의 과학기술측우기 측우기의 전반적인 사항에 대한 내용입니다. 측우기의 종류에는 금영측우기, 관상감측우대, 창덕궁 측우대, 대구 선화당 측우대, 통영 측우대, 연경당 측우대가 있습니다.정의 세종때 발명되어 사용한 조선의 과학기술측우기 조선시대의 공식적인 우량 측정기구로서 1440년을 전후하여 발명되었으며 1442년부터 20세기 초 일제의 통감부에 의해 근대적 기상관측이 시작될때까지 조선왕조의 공식적인 우량 관측기구로서 사용된 도구로 현대의 우량계에 해당합니다. 금속제 원통형 그릇에 빗물을 받아 표준화된 눈금의 자로 그 깊이를 측정했으며 같은 규격의 기구와 자를 서울의 천문관서와 지방의 관아에 설치하여 전국적으로 우량 관측 및 보고 체계를 갖추었습니다. 측우기의 발명과 전국적 우량 관측제도의 성립은 이때부터 우량을 정량적으로.. 2017. 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