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농촌사회의 변화

by 건강맨1213 2017. 8. 31.
반응형

농촌 사회의 변화로 무로마치 시대 농촌의 모습이 크게 바뀌었는데 지금까지의 장원 제도가 붕괴되고 소우라는 마을 공동체가 발달하기 시작하였는데 주민자치제도 까지 실시되었고 화폐 경제가 농촌까지 침투하여 많은 것이 변했습니다.

무로마치 시대의 농촌사회의 변화는 상업의 특징으로는 특권적인 동업자 조합인 자리라는 것이 생겼는데 실제로는 헤이안 시대 말기부터 등장한 것으로 조정과 귀족, 사찰 등을 본거지로 영업세를 대신 납부 해주고 지역내에서 특권으로 상업 활동을 인정받는 조직이었습니다.

유명한 것으로는 교토 야와타시를 근거지로한 기름 자리가 있습니다.

기름을 파는 업체는 이와 시미즈 하치만구에서 배를 낼때 봉사료와 기름을 헌납함으로써 관문 통행료와 항구 임대료의 면제와 기름의 원료인 들깨를 우선적으로 살 수 있는 권한을 받게 되었고 기름을 정기적으로 독점판매하는 권리를 취득하게 되었습니다.

집안에서 가격이 마음대로 붙일수 있게 되었으므로 높은 사람에게 돈을 주어도 돈벌이가 되는 것이었습니다.

이와 시미즈가 하치만구를 무시하고 마음대로 교토등에서 기름을 판매하려 해도 지방에 판매하려 해도 현지 관리에게 돈을 주는 댓가로 독점적 판매 허가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이어지는 전국시대가 되면 오다 노부나가가 라쿠이치를 자신이 만든 도시로 설정하고 자유로운 장사를 권장하지만 기존의 자리가 해체되는것은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등장한 시대가 되고서야 없어지게 되었습니다.

막부가 은화를 독점적으로 주조한 조합을 긴자라고 하는데 에도 막부가 메이지 정부에 의해 막해 폐지되지만 긴자의 이름은 전국적인 명칭으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문화로는 금각사를 지었는데 무로마치 시대의 양대문화로 아시카 시절 야마문화, 아시카가 요시마사 시절의 히가시야마 문화, 그리고 키타야마 문화 이전의 남북조, 시민문화의 4종류로 분류됩니다.

남북조 시대에는 전란의 시대를 반영하여 역사서가 많이 등장하고 신황정통치기, 태평기, 소이야기, 거울 이라는 역사서가 등장했습니다.

건축으로는 무로마치 시대의 건축에서 주목할만한 것이 히가시야마 문화 무렵 등장한 서원으로 일본 건축에 특히 이용되고 있는 것입니다.

로쿠온은 아시카가 교토의 야마에 건립한 것이 사후 사원이 된것으로 금각사로 유명합니다.

1950년 방화에 의해 소실되어 1955년에 재건한 것이 현재 건물이며 금각사를 둘러싼 정원은 정원 중심에 연못을 만들고 그 주위를 산책할 수 있도록 만든것이 특징입니다.

서원이 무엇인가 하니 침전조처럼 큰 방을 가진것은 아니고 밀거울 등의 칸막이를 사용하여 목적에 따라 방을 세분화하고 미닫이 등을 사용하여 밝고 개방적인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다다미가 깔려있거나 장식을 다는등 기둥이 많은 것이 특징이며 카게카와 성의 니노마루 어전이 대표적인 서원입니다.


종교로는 가마쿠라 시대부터 점차 정비되어 완성되어 갔는데 임제종의 사원을 조직하여 평가한것으로 무로마치 막부의 보호를 받고 교토의 난전사를 특별사원으로하여 여러 사원을 두었습니다.

그림으로는 수묵화의 발달을 들수 있는데 중국에서는 당나라때부터 발달하였는데 당시의 유명한 화가로는 오도현과 왕유 등이 있으며, 일본에서는 특히 무로마치 시대부터 오산을 중심으로 한 선승들 사이에서 서로 그리며 감상하였으며 조세스는 지금까지 중국 스타일의 모방에 불과했던 한국의 수묵화에 독창성의 요소를 추가하고 그뒤에 자신만의 기법을 더해 수묵화의 거장으로 이름을 남기게 됩니다.

이 시대 최대의 거장이라고 한다면 현재 오카야마 현 소자시에 태어난 화가인데 스오의 오우치의 비호를 받고 야마구치에 거주하였으며 오우치의 선박으로 명나라에가 유학을 하며 다양한 기법을 배우고 귀국하여 일본의 수묵화 계에 새로운 바람을 불게 하였습니다.

무로마치 시대에는 서민 문화가 번성하였는게 대표적인 것이 민간 예능을 집대성 한것이며 이론서 등도 만들었습니다.

이밖에도 다도나 꽃꽃이 요리 등 일본 전통이라 불리우는 것의 대부분이 무로마치 시대에 탄생한 것입니다.


반응형